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시장동향

전문가 제언
□ 인간 생활에서 일어나는 많은 행동들을 통해 매일 많은 쓰레기를 내고 있다. 행정 당국자로서는 각 가정에서 나오는 생활 쓰레기를 어떻게 하든지 처리하여야 한다. 지금까지 쓰레기 처리에 있어서, 집 앞에 쓰레기를 내어놓고, 쓰레기를 당연히 치워가는 것으로, 담당자 이외는 쓰레기의 최종 처리에는 관심 없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인구가 늘고, 따라서 쓰레기도 증가하여, 현재는 자치단체마다 쓰레기 매립장 때문에 어려움을 격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료와 상품을 생산하는 Maker도, 이것을 파는 유통업자도 그리고 최종 사용자인 일반시민도 합심하여 소비 방법을 바꾸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바로 환경에 적응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것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탄생을 가져오게 되었다.

□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현재 쓰레기봉투, 식품 용기 포장재 등의 Composite화 특성을 살리는 용도와 농림수산토목재료와 같이 완전생분해성을 활용한 용도로 사용처가 넓어지고 있다.

□ 2002년도 통계에 의하면 세계 수요량을 7~8만톤으로 보고 그 중 미국이 약 50% 차지하고 유럽이 약 40%, 일본이 약 10% 미만이라고 한다. 2010년경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고분자 재료의 약 10%정도를 생분해성으로 대체할 계획을 세우고 세계 각국이 실행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도 이에 적극 참여해야 함은 물론, 미국,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제품식별표시제 인증제 기관에 우리도 참가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도 산・학・연 합동차원에서 외국과 같이 Bio-Technology에 관한 전문적인 기관을 설치하여 기초적인 이론과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연구하고 집행하는 전략을 세워 운영할 필요가 있다.
저자
Kazusi Oshi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3
권(호)
90(11)
잡지명
OHM(A08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3~27
분석자
원*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