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칩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칩은 BT∙IT∙NT가 결합된 최첨단 기술 분야 중 하나로서, 인간게놈이 규명되면서 종전의 면역반응(항원-항체)원리나 방사선동위원소를 이용하던 진단장치가 바이오칩으로 급속히 대체되고 있다.
□ 바이오칩은 주종인 DNA칩에서 단백질칩∙세포칩∙신경칩 등으로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다른 동식물이나 미생물에 대한 동정이나 생명현상의 규명은 물론, 극소형 실험장치인 lab-on-a-chip도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유전병이나 암의 진단∙돌연변이의 탐색∙유전자 발현∙신약개발 및 법의학 분야에 대한 용도가 급증하고 있다.
□ DNA칩의 기술개발은 한 시료에서 여러 항목을 분석하는 방법과 여러 시료에서 한 성분을 분석하던 시스템을 거쳐, 앞으로는 미세우물(well)을 이용하여 다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all-in-one 형태로 방향이 바뀌고 있다. 과거에는 칩 제작에 필요한 기기와 장치∙부품∙분석과 검출시스템∙제조기술 등이 주도했으나, 지금은 칩 자체는 물론 분석기기와 소프트웨어가 하나로 통합된 패키지 형태의 개발로 선회하고 있다.
□ 바이오칩의 국내출원은 매년 1건에서 1999년부터는 15건, 2000년에는 19건으로 급증하여 오늘에 이른다. 내국인의 출원(78%)은 LG전자(8)∙삼성전자(3)∙바이오니아(3)∙한국과학기술원(2)∙포항공대(2) 등이, 외국인 출원은 코스타 월드(3)∙사이퍼젠바이오시스템(3) 등이 주도하고 있다.
□ 바이오칩의 세계시장은 2003년의 17억$에서 2005년에는 33억$ 이상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도 바이오칩은 물론 주변기술인 PCR(유전자증폭장치)∙photolithography∙mechanical microspotting∙ink-jetting∙electrochemical synthesis 등의 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여 DNA칩을 포함한 바이오칩의 균형적 개발을 이루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바이오니아(주) 등의 PCR생산은 고무적인 움직임이라 할 것이다.
- 저자
- Takenaka Shigeor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3
- 권(호)
- 90(10)
- 잡지명
- OHM(A0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7~62
- 분석자
- 임*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