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칩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단백질 해석법
○ 2차원 전기영동으로 분리한 단백질의 해석은 주로 다음 순서로 실시한다.
- 환경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단백질을 화상처리법 등을 이용해서 관찰한다.
- 단백질 spot를 잘라 겔 속에 특이적 protease로 소화하고 겔로부터 용출된 peptide 단편의 질량수를 질량분석으로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한다.
- 경우에 따라 상기 펩티드 단편의 아미노산 서열을 MS/MS법 또는 PSD(Post Source Decay)법으로 결정한다.
이러한 순서로 진행하는 방법을 Peptide Mass Fingerprinting이라 부르며 이 방법으로 기자유전자와 단백질과의 대응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백질의 기능을 해석하는 경우 다수의 단백질에서 발생한 번역 후 수식잔기를 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 Tandem Mass Spectrometer
○ 전장과 자장을 이용한 고분해능 질량분석기로서 다양한 이온 source와 high energy collision을 이용한 탠덤 기법으로 단백질과 같은 생체고분자물질의 구조해석과 high resolution GCMS 등에 이용한다.
□ 앞으로의 과제
○ 199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생물의 게놈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있으며 인간게놈의 전체 염기서열 결정도 완성되었다. 그러나 게놈 해석이 진행됨에 맞추어 그 기능을 추정할 수 있는 단백질은 의외로 적다. 따라서 포스트 게놈 연구로서 개개의 단백질 기능을 효율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범국가적인 정책적 연구지원 체제가 절실히 요청된다.
- 저자
- Dakeshi KARAS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3
- 권(호)
- 90(10)
- 잡지명
- OHM(A0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7~52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