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온.칩(Lab-on-a-chip)의 새로운 전개
- 전문가 제언
-
□ LOC기술은 1990년대 초 Harrison 등이 개발한 모세관 전기영동을 이용한 방법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들은 용액이 채워진 미세한 채널의 양단에 전압을 걸어 용액의 흐름을 만드는 모세관 전기삼투현상을 이용하여 별도의 펌프나 밸브 없이 용액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고, 모세관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분리․분석을 할 수 있어 작은 실험실을 칩 위에 제작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였다. 현재 LOC연구는 미국과 유럽에서 주로 하고 있고, 아시아권에서는 소형화에 강한 일본조차도 아직까지 활발하지는 못한 실정이다.
□ 미국에서는 이 분야의 신기술이 곧바로 벤처기업으로 연결되어 Caliper Technologies, Aclara Bioscience 등 몇 개의 기업들이 각자 독창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설립되었고, 일본통산성의 Advanced Technology Program(ATP)이나 Defence Departments 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DARPA) 등의 프로그램을 통한 국가적 재정지원을 기반으로 제약회사 등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 LOC는 유리,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수 cm2크기의 칩 위에 분석에 필요한 여러 장치들을 집적시킨 화학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고속, 고효율, 저비용의 자동화 분석기능이다. 이 기술은 최근 급속히 성장하는 제약산업 분야에서 신약탐색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 성질이 다른 샘플들에 대한 분석조건들을 신속히 최적화할 수 있는 3차원 모듈화 기술 등 새로운 LOC기술을 개발하여 특허화해야 할 것이다. 또 레이저 유발 형광(Laser-induced fluorescence)분석기술과 질량분석기술(Mass spectrometry) 등의 초고감도 분석기술을 개발된 LOC에 적용하여 약리활성물질 탐색과 의료분석에 필요한 기술을 획득하여 국내 의약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학계의 연구역량과 적극적인 지원이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 또 LOC기술은 NT, IT를 BT에 적용하면 바로 21세기를 선도할 차세대 종합기술이자 국가 중점사업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 저자
- Hideya NAGA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3
- 권(호)
- 90(10)
- 잡지명
- OHM(A0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2~46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