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히트펌프 기술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가능성

전문가 제언
□ 이산화탄소와 지구온난화

○ 일본은 2012년까지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1990년 수준의 11.73억 톤에서 6%를 감축한 11.03억 톤으로 감축해야 한다. 그러나 민생부문 및 수송부문에서의 에너지소비 증가로 인하여, 1999년도에는 오히려 7% 가량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증가하였다.

○ 일본은 에너지절약기술에 있어서 세계 최고수준을 가지고 있어, 오히려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각 부문별로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 노력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아직 온실가스와 산성비 원인물질에 대한 제약은 받고 있지 않으나, 쿄토의정서에 가입을 꺼리고 있는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이 가입을 하게 되면 우리나라도 온실가스와 산성비 원인물질의 배출량 감축에 대한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므로 이에 대한 사전 대책이 필요하다.

□ 부문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대책

○ 전력생산을 위해서는 우리나라도 원자력발전소의 건설과 석탄화력의 고효율화를 통하여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감축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산업체에서 가스터빈 열병합발전 복합시스템의 도입이 보다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 수송부문에서는 LNG나 LPG와 같이 수소에 비해 탄소의 양이 적은 연료를 사용하는 차의 공급을 늘려 이산화탄소 및 질소산화물과 유황산화물 같은 산성비 원인물질의 배출량을 감축할 필요가 있다.

○ 우리나라도 동력자원부 고시 제 92-44호를 통하여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 대해서는 축열시스템을 설치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고 이에 따른 세제상의 혜택도 부여하고 있다. 아울러 전력요금 누진제를 채택하고 있고, 심야전력에 대해서는 추가로 할인도 실시하여 축열시스템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한여름철의 첨두 전력수요를 분산하기 위한 것이지,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감축을 목표로한 것은 아니다. 히트펌프도 우리나라에 상당히 보급되어 있으나 보다 효율이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저자
Tokuhisa NE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3
권(호)
90(7)
잡지명
OHM(A086)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68~72
분석자
이*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