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 설비의 에너지 절약기술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도 전체 에너지 사용량 중 가정 및 상업용 부문이 21%를 넘 어서는 등, 점차 선진국 소비 형태로 이행되고 있으며, 전 부문의 에 너지 소비 원단위는 가장 높은 수준이다.
□ 이 가운데 조명 부문도 역시 에너지 낭비가 심각하여, 최근 조사 결 과로는 조사 대상 건물 중 75%가 심야 조명을 하고 있어 24시간 조 명으로 낭비 요소가 매우 큼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지금과 같은 고유가 시대에서 우리는 생존을 위해서도 에너지 절약에 힘써야겠다.
□ 법규상으로는 2,000㎡이상 공동주택, 3,000㎡이상 판매 영업시설, 만㎡ 이상 문화 집회시설에는 에너지 절약 계획서를 제출하게 되어있는 등 일정규모 이상 건축물이나 공공기관에서는 고효율에너지 기자재 사용이 의무화 되어 있고, 여기엔 고효율 조명기기를 적용하도록 되어 있어서 광원, 안정기, 반사갓 및 기타 조명기기가 해당되어, 관련 조명 기기 생산업체는 전자식 안정기나 안정기 내장형 램프 등 생산과 함께 할로겐 램프, LED램프 등 고부가 가치 제품의 개발도 진행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고휘도 유도등을 개발하여 기존 대비 소비전력을 70%나 낮추는 등 성과도 계속 나오고 있다.
□ 그러나, 아직 대다수의 업체는 전구 및 형광등 위주여서 과당경쟁에 의한 품질 저하 등의 우려가 높아서, 형광등이나 백열등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고 친환경적이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고급 인테리어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조명용 백색 LED를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조명기구를 표준화시켜서(특히, 사무실용 등) 업체의 중복 투자 를 막고 원가를 절감시켜 고효율의 조명기기를 값싸게 대량으로 공급되도록 하여야 하겠다.
- 저자
- Ozeki Shoichir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55(10)
- 잡지명
- 생산과전기(A08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8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