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 수전용 유입 변압기의 보호
- 전문가 제언
-
□ 전력계통에서 전기기기, 특히 변압기는 뇌(雷)에 의한 외부서지, 개폐기에 의한 내부서지에 상시 노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변압기는 외부/내부서지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절연강도가 필요하다. 즉 이상전압에서 변압기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 변압기는 정지기기로서 효율이 높은 기기이나, 전력변환에서 발생되는 손실이 크다. 또한 상시 전력 공급 역할을 하므로, 만일 고장이 발생하면 부하 측에 미치는 영향도 클 뿐만 아니라 전력계통에 정전을 유발시키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변압기는 상시 정상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세심한 주의를 하여 고장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한다.
□ 일반적으로 전기기기는 열용량이 있으므로, 과부하시에도 바로 위험온도로 상승하지는 않는다. 특히 변압기는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열시정수(熱時定數)도 크다. 따라서 단시간인 경우에는 과부하를 견딜 수가 있다. 또한 기저부하(基底負荷)가 변압기용량에 비하여 낮은 경우에는 온도상승에는 여유가 있기 때문에 기저부하에 따라 허용되는 과부하의 정도는 다르다. 그러므로 변압기를 선정할 때에는 부하용량 등을 고려하여야한다.
□ 변압기의 절연물은 A종으로, 보통절연에서 95℃, 내열절연에서 105℃로 사용할 때 기대수명은 30년으로 보고 있으나, A종 절연물을 사용한 전기기기를 105℃에서 연속으로 사용할 때의 수명은 7년으로 되어있다. 또 이때에 온도가 8°K 상승하면 수명은 반감(半減)된다는 것이다. (Montsinger의 공식 참조) 그러므로 변압기를 사용할 때에는 규정온도 이상에서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 우리나라는 저손실형변압기에서 온도상승의 한도를 보통절연에서 권선은 55℃, 절연유는 50℃로 규정하고 있다. 이것을 일본에서는 보통절연에서 권선은 55℃, 절연유는 55℃이하로 정하고 있다. (JEC규정)
- 저자
- Daihen. c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55(9)
- 잡지명
- 생산과전기(A08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9~13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