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후의 차량 기지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철도는 안전 운행을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모든 업무는 규정에 따라 시행하고 정비규정의 개선 내지 부분품의 신개발 품의 채택은 어렵고 전통적인 방법만 고수하고 같은 부서에서도 각 담당자의 정보의 공유는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철도 분야에 3D 작업의 기피현상 때문에 모든 점검 보수 업무는 자동 점검 센서의 도입이 불가피하며 또한 전산화로 모든 작업을 온라인(On-line)화 하여 신속과 정확성이 유지되며 특히 부품의 재고관리의 효율화를 갖게 되었다.
□ 능률적인 작업을 위해 중간 조립품은 정비공정에 따른 필요 일시와 장소에 리얼타임으로 반입메이커 측 인원이 부착 시운전 하도록 하는 라인업(line-up) 방식을 도입했다.
□ 차량 정비 보수 및 부분품의 이력관리를 위해 전산화는 필수이며 철저한 모니터링으로 수명관리를 해야 한다. 특히 베어링이나 전장품 등은 수명에 관계없이 부착연한을 고려하여 교체해야 한다.
□ 차축과 차륜의 결함은 운행 중 대형 사고를 유발한다. 점검보수 시 자동탐사내지 초음파 탐상 등으로 내부 결함을 철저히 점검한다. 점검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량률의 극소 등으로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철저한 점검 기록관리가 요구 된다. 외국에서 차축, 차륜 납품 시 탐상 시험 중 이상 유무확인 후 수년간 탐상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 것은 동양의 경우보다 하중 및 안전율을 더욱 크게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 운행 중 차량과의 긴밀한 정보교환으로 이상예지 및 이취(異臭)나 진동이라는 고장과의 관련이 깊은 현상을 검출하기 위한 차량 측에 전용의 센서를 설치하는 것도 앞으로 바람직한 개발 개혁이다.
□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 확대로 신속한 정보공유와 능률적인 보전 보수 작업으로 변화하고, 자료 분석 관리의 전문화를 위한 전문 기술 및 기능인의 양성이 필요하다.
- 저자
- Makoto Nagashima, Yasutaka Noz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77(11)
- 잡지명
- 삼릉전기기보(A09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7~20
- 분석자
- 송*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