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폐기(단로기,차단기)의 기능과 역할
- 전문가 제언
-
□ 자가용 수전설비에서 사용되는 개폐기류는 실제로 사용할 때에 개폐기 개개의 취급 시 주의사항 등을 숙지하여야 하며, 또 사용에는 정격, 외피와 보호형식, 환경(온도 습도 등) 및 안전상의 문제에 대하여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개폐기에서 전기회로를 개로하면 저전압, 저전류외에는 반드시 아크가 발생하며, 대전력아크로 되면 소호장치가 필요하다. 또 차단기는 차단용량을 초과하여 사용하면 사고나 재해에 직결되기 때문에 사용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사용한도, 사용조건 등 허용된 개폐차단능력에 따라 용도와 기능이 엄수되어야 한다.
□ 차단기는 단락용량으로 결정되는 차단용량, 동작책무(動作責務), 부하개폐용량, 허용된 개폐회수 등을 검토한 후에 그 용도에 적합한 방식인 것을 선정하고 사용한다.
□ 배전용 차단기는 과전류역(過電流域)에서 전류가 커지면 동작시간이 단축되는 반한시특성요소(反限時特性要素), 대전류역에서는 순간에 동작하는 전자요소가 있으며, 또 주위온도가 변화하면 바이메탈의 동작온도가 변화할 뿐만 아니라 정격전류도 변화한다. 즉 주위온도가 상승하면 정격전류는 적어지고, 온도가 저하하면 정격전류는 커진다. 그러므로 차단기 등을 취급할 때에는 온도특성을 정확히 이해하여야 한다.
□ 자가용 수전설비에서 변압기의 보호 장치로 계전기가 사용된다. 이 계전기는 어느 것이나 사고 시에 동작할 때에는 계전기 자체를 작동시키는 직류전원의 공급이 필요하다. 이 직류는 축전지전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사고 시에 정확한 동작을 위하여 직류전원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 저자
- T. Sa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57(10)
- 잡지명
- 신전기(E08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7~24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