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조파의 발생원리와 고조파 대책

전문가 제언
□ 근래 다이리스터 소자의 성능향상, 품질의 안정, 많은 가동실적과 동시에 신뢰도도 향상되어, 본래의 특성인 제어의 용이성, 빠른 응답속도, 고효율, 보수의 용이성 등의 특징이 인식됨과 동시에 대량생산으로 가격이 저하되어 다이리스터 응용기기의 산업기기에의 적용은 확대되어 소규모 기기에서 대규모 기기에 이르기 까지 모든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 한편 다이리스터 응용기기에서 발생하는 고조파가 전력계통의 각 기기에 직접적인 장해를 주는 사례가 증가되고 있어, 이와 같은 기기를 설치할 때 교류필터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배전계통에서의 고조파 장해와 그 재해 방지대책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 고조파 장해에는 전력계통과 통신계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전력계통에의 장해는 비교적 저주파인 100㎐~2㎑인 것으로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기기의 손실증가에 의한 과열, 전자기기 및 보호계전기 등의 오동작을 생각할 수 있다. 통신계통의 장해는 비교적 주파수가 낮은 200㎐~5㎑인 경우와 고주파로서 수㎑~수십㎒인 것이 있으며, 주로 전자관련 기기에 장해를 준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 고조파 장해가 발생되지 않는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보다 더 효율적인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 전력계통에서 고조파의 허용치를 일반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계통 각각의 계통정수 및 영향을 받는 기기가 상이한 것으로 대단히 곤란하여 미국, 일본 등 많은 외국에서 고압배전계통에 있어서의 관리기준도 일반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전기설비기술기준 제35조에도 일반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고조파 발생기구 별로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저자
H. OKA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3
권(호)
57(8)
잡지명
신전기(E082)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62~66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