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서비스의 현상과 비즈니스 적용 과제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의 경우 EDI에서 웹 서비스로 전환한 대표적인 경우는 관세청의 수출입 통관 시스템이 있다. 인터넷의 대중화 이전에 EDI를 통한 통관 자동화 시스템 구축으로 상당한 효과를 거두어 전자상거래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였고 최근 이를 웹 서비스로 전환함으로써 그 동안 EDI 시스템 구축, 변환 소프트웨어, VAN 이용으로 인한 고비용 부담을 덜어내고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경우라 하겠다.
□ 웹 서비스에 의한 기업간 연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용이한 접속을 위한 비즈니스 프로토콜의 표준화, 보안, 서비스 감시와 장애 대처, 과금 결제, 용이한 비즈니스 관계구축을 위한 신용성 확보, 계약, 명확한 역할분담을 위한 구축의 분담, 장애대응의 분담, 사용자 정보의 관리분담 에 대한 과제 해결을 위해 실증실험에서 나타난 현상과 대책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표준화 및 제3자를 포함한 역할 분담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 정보화 사회의 가장 큰 특징인 협업(Collaboration)은 비지니스에서 뿐만 아니라 시스템적으로도 중요한데 웹 서비스가 그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비즈니스 분야별 현상과 과제들을 해결해 나가면 기업 시스템끼리 실행시 동적 연동이 가능한 진정한 의미의 연결합성이 실현되어 웹 서비스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Shunsuke Yura, Emiko Fujis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3
- 권(호)
- 15(5)
- 잡지명
- 지능과정보(F19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10
- 분석자
- 김*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