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무연 납땜에서 주석 부식 균열의 현상

전문가 제언
□ 전기 전자 부문의 생산라인에는 납땜공정은 매우 중요한 공정이나 깨끗한 작업환경을 중요시 하는 조립공장에서는 열악한 편에 드는 작업공정이다. 용융된 땜납이 내뿜는 열기와 땜납과 플럭스(flux)등에서 나오는 흄(fume)등은 공장 내외에서의 환경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철저히 관리 되어야 한다.

□ 무연땜납의 사용은 무연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아니더라도 이미 그 실용화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땜납의 무연화로 하여 장비의 내구성이나 안전성에 문제가 생긴다면 장비제조 업체로서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 보고서는 장비제조 업체인 Nihon Dennetsu Geigi의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재료선정과 경제성 등에서 문제의 심각성을 알게 해준다.

□ 최대한의 예측 가능한 시간까지는 안전조업이 보장되는 장비를 만들기 위하여 우선은 작업온도를 최대한 낮추고 작업 중 무연 땜납의 유동이나 교반현상이 없도록 하며 SUS316 재료를 사용하나 그 중요도를 감안하면 새로운 재료의 발견에 종사자나 전문가들의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최근 무연땜납의 사용과 함께 납땜할 부위에 땜납을 붙인 후 가열 용융시키는 리플로 솔더링 장치의 도입이 구미, 일본 등에서 활발한데 여러 측면에서 관심을 가져야겠다. 국내에서도 무연땜납용 리플로 솔더링 장치와 고급 솔더링 공정시스템이 개발 중이라니 크게 기대된다.
저자
Y. Mae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19(9)
잡지명
실장기술(N123)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0~44
분석자
양*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