땜납 대체재로서의 전도성 접착제
- 전문가 제언
-
□ 전도성 접착제로서는 열경화성 접착제와 열가소성 접착제가 있으며, 열경화성 전도성 접착제는 에폭시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바인더를 사용하고 있으며, 에폭시계 전도성 접착제의 경우 원료인 에피클로로히드린이 염소함유 물질이므로 염소함유량을 감소시키는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 실리콘 접착제는 실록산결합(Si-O-SI)으로 되어 있어 내열성과 내한성이 우수하고, 광범위한 온도에서 안정한 특성을 나타내며, 내후성, 전기특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접착제이다. 최근 실리콘계 전도성 접착제로서는 부가형 실리콘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함으로써 경화 후 도막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양을 줄이고 있으며, 또한 저분자 실록산 성분을 감소시킴으로써 전극과의 접속신뢰성도 향상시키고 있다.
□ 폴리이미드계 전도성 접착제는 내열성과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고융점 납땜, 글라스 봉지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경화온도가 높아 특수한 용매에만 용해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실리콘변성 폴리이미드 수지가 개발되어 있다.
□ 열가소성 전도성 접착제로서 미국의 CSPM사에서 개발한 STAYSTIK 전도성 접착제의 경우 이미 일부에서는 표준적인 접합재료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성능이나 사용효과 면에서 앞으로도 적용 범위가 확대될 것이다. 특히 웨이퍼백 코팅 등 전도성 접착제의 특징을 살린 공정은 납땜 대체 이상의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 그러나 전도성 접착제는 땜납과 비교하면 저항값 및 접착강도가 떨어지며, 작업성에 있어서도 경화시간이 긴 문제도 있어 아직 해결해야할 과제가 많다.
□ 우리나라에서도 2006년부터 납이나 수은 등 몸에 해로운 물질을 전기․전자 부품에 쓸 수 없게 됨으로써 대체물질 개발과 신뢰성 평가기술 확보, 유해물질 분석 등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저자
- Kondo Shunr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19(8)
- 잡지명
- 실장기술(N12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4~28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