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WDM 시스템용 멀티채널 대응 집적파장 가변광원 모듈
- 전문가 제언
-
□ 대용량 백본 네트워크를 경제적으로 구축하는 일은 품질 좋은 광대역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최근 고속 및 광대역 통신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광통신시스템 중에서 광 모듈 기술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광통신시스템의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중화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광다중화방식의 종류는 OTDM, OCDM, WDM, OFDM 등이 있다. 그 중에서 WDM은 광섬유의 저손실 파장대역을 여러 개의 좁은 채널파장 대역으로 분할하여 각 입력 채널마다 하나의 파장대역을 할당하고 입력 채널신호를 할당된 채널 파장대역을 통하여 동시에 전송하고 있으며, WDM의 종류로는 DWDM방식 및 CWDM방식이 있다.
□ 이 WDM 전송방식은 수동소자로 구성되고, 각 파장채널은 서로 독립적이며, 전송데이터의 형식에 무관한 투과성이 있으며, 아날로그 신호 및 디지털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전송율의 신호들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 광통신방식은 그 동안 백본 네트워크 및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홈네트워크에서도 FTTH 등 광전송방식을 채택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소요되는 파장가변 광원 모듈 등 송신기 및 수신기의 연구개발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 저자
- Y.Yokoyama, et a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41(477)
- 잡지명
- 광기술콘택트(N14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4~11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