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로 제강공장의 환경문제와 대책
- 전문가 제언
-
□ 1997~1999년간 일본철강연맹에서 수행한, 전국 전기로공장의 다이옥신 발생에 대한 실태조사와 다이옥신 저감과 지정폐기물인 전기로 더스트의 무해화 처리 및 유가 금속 회수를 위해 개발한 기술들로써, 국내 전기로제강업체의 관련엔지니어에게 유용한 정보이다.
□ 전기로조업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의 종합적인 저감대책으로 제시한 방법 - 생성된 다이옥신을 열분해하기 위해 노내 온도를 800℃이상으로 유지한다거나, 배기가스에서 다이옥신이 재합성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배기가스 급냉 처리하는 방안, 최종적인 다이옥신 배출량을 규제치 이하로 관리하기 위한 탈초 촉매나 흡착탑 등의 환경설비 설치 - 들은 국내 전기로공장에서도 유효한 조업/설비 상의 가이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우리나라에서도 지정폐기물인 전기로 더스트가 연간 30만ton 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플라즈마 아크를 이용한 더스트의 무해화 및 금속회수 기술(RAPID Process)이 파일럿 플랜트 규모로 개발된 바 있는데, 이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ladle furnace 방식과 경쟁적인 공정이다.
□ 전기로 더스트의 리사이클링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지정 폐기물인 이 더스트를 아스팔트 필러로 사용하는 방법이 KS로 제정 - 아연, 납 등의 유해 중금속이 아스팔트로 고정되어 용출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 된 이후, 실제 도로에 포설된 아스팔트가 마모될 때 중금속함유 분진이 비산되는 문제점이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되어 있다.
- 저자
- M.Nakay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40(6)
- 잡지명
- 공업가열(D27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5~33
- 분석자
- 김*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