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수소계 재료의 새로운 기능 설계
- 전문가 제언
-
□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전기자동차의 실현과 심야유휴전력의 활용을 위해서는 대형 2차전지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미국 에너지부 예측에 따르면 2010년께 하이브리드 카는 전체 자동차의 25%, 연료전지 차는 4.5~11%를 차지할 전망이다. 2030년 이후엔 화석연료를 쓰는 자동차시대는 완전히 마감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카․연료전지 카 등 친환경차 개발은 국내 완성업체의 미래 생존에 직결된다.
□ 대기를 오염시키지 않는 궁극적인 크린에너지원으로 기대되는 것이 연료전지이다. 연료전지는 자동차용의 연료가 되는 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신소재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제 수소혁명은 시작되었고 수소의 생산, 저장, 변환기술은 아직도 더 발전 지속될 것이지만 어느 정도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다. 특히 수소저장은 앞으로 용기개질개발 및 저장기술향상을 위해 끊임없이 도전할 것이다.
□ 대형 전지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경우 전원을 1백% 전지에 의존하면 약 2~3백㎏의 전지가 필요하므로 어떤 전지를 사용하더라도 가까운 장래에는 경제성을 확보하기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가솔린 엔진과 일부 전지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경우 수십㎏의 전지만 필요하므로 세계적으로 활발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 국내에서 리튬이온 전지산업이 정착돼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국내 기반이 미약한 제조 장비나 원재료 및 부품 등 관련된 기반기술 확보와 새로운 산업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인력의 양성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저자
- Yoko NAKAMORI, Shinichi ORIM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42(11)
- 잡지명
- Materia Japan(N10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822~828
- 분석자
- 이*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