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친화제품의 재료전략 개요

전문가 제언
□ 환경친화제품은 환경 보전과 자원 절약이라는 명제 하에 환경 부하를 최대한 줄이고 또한 리사이클링이 용이하도록 재료 선택과 설계를 전환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그것은 곳 기존의 사용 후 재료의 리사이클링보다 처리․가공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많고 폐수와 폐제가 발생하는 등의 환경 부하 때문이다.

□ 환경친화제품의 기술이 성숙하려면 가격 면과 품질 면에서 종래 제품보다 열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이 경우 환경친화제품 개발을 지원하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 예로 가능한 범위에서 그린구입을 촉진하는 정책이 요구된다. 우리나라는 아직은 그린구입이 초기 단계에 있지만 국제 환경 규제에 따라 그 필요성은 점차 증대하고 있다.

□ 특히 유럽연합(EU)이 2006년 7월부터 환경유해 물질이 포함된 제품판매를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것을 비롯하여 일본, 미국 등 선진국이 환경규제 대열에 본격적으로 가세하고 있음을 볼 때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선진국을 비롯하여 세계 각 국가들은 인류의 활동에 의한 지구의 기후변화를 막기 위하여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을 채택하였다. 1997년 교토 의정서에 따른다면 2008~2012년까지 온실가스를 1990년 대비 5.2%를 감축목표를 규정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지구환경 문제가 걸린 온실 가스 감축 문제는 미룰 수 없는 사안임을 감안할 때 세계 각국이 온실가스 배출 쿼터제 등의 대안을 마련하여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저자
Yo Tomota, Kohemi Halada, Tetsuya Nagasak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42(11)
잡지명
Materia Japan(N103)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77~780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