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 재료의 재료 전략 개요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과 국민소득향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업구조의 「고도화」∙「고부가가치화」가 요구된다. 소재산업의 「고도화」는 기존 소재의 개량과 신소재의 개발이 중심이 될 것이고, 소재의「고부가가치화」는 생산 프로세스의 개량 개발과 소재의 사용, 기계장치 등의 설계 제작, 즉 이용 가공기술의 개발까지 뒷받침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일본의 로드맵도 소재의「고도화」∙「고부가가치화」에 대한 방향이 제시되었고, 우리나라 소재 연구 방향설정에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 전지재료분야에서는 자동차용 연료전지 개발의 필요성과 청정에너지 요구로, 연료전지 특히 마이크로 연료전지재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초전도재료는 초전도기기나 냉동기기에 사용되는 재료로 당연히 고성능과 신뢰성, 긴 수명이 요구된다. 사용되는 재료는 극저온에서 충분한 강도와 인성이 요구되고, 용도에 적절한 열적특성, 가공성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초전도기기개발을 위해서는 극저온 하에서도 성능을 발휘하는 전열재료와 단열재료 등의 연구개발도 함께 추진되어야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 저자
- Ken-ichi Takag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42(9)
- 잡지명
- Materia Japan(N10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614~616
- 분석자
- 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