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세포외 매트릭스와 이온빔을 이용한 세포접착성 및 혈소판 점착 제어

전문가 제언
□ 심장과 혈관질환은 세계에서 가장 흔한 사망원인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심장, 심장판막, 혈관 등과 같은 순환기 계통에서 발생하는 질병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의 사망원인 중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 중 동맥경화증,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이 속하는 혈관과 관련한 질병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세계보건기구(WHO)의 통계에 따르면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하는 사람은 1년에 약 1,20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약 5,700만명의 인구가 한 가지 이상의 심혈관 질환으로 치료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른 비용만 해도 연간 2,6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질병이 있는 혈관을 수술이나 약물치료로 치유가 불가능할 때 또는 산업재해, 자동차 사고, 전쟁 등 불의의 사고에 의해 혈관이 손상됐을 시 파손된 혈관을 대체하기 위해 인공혈관이 쓰인다.

□ 심장과 혈관의 기능 소실로 초래되는 말기 심혈관 질환은 조직 또는 장기의 기능을 복구, 유지, 향상시킨다는 생체조직공학의 목적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차세대 치료방법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가장 발달된 분야는 생체조직공학적 기법으로 인공 생체 혈관을 만드는 분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인공혈관(대구경)을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나라는 미국으로 몇 개 회사에서 전세계 시장을 독점하다 시피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에서도 일부 생산하거나 준비중에 있다. 인공혈관은 전세계 매출액이 대략 4,000억원 정도로 추정되는 고부가가치의 인공장기의 하나이다. 사실 인공혈관의 개발 역사는 비교적 짧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Stand형 인공혈관은 다른 인공혈관에 비해 작용기전이 전혀 다른 시도로서 본래의 혈관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내부만을 넓혀주는 방법이므로 완전한 인공장기에 비하여 안정성이 좋고 정상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우수한 치유법으로 사료된다.
저자
Kyo K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3
권(호)
42(7)
잡지명
Materia Japan(N103)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15~520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