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반응형 무크롬 표면처리기술 동향

전문가 제언
□ 일본의 Sumitomo금속공업은 무크롬 전기도금강판 외에도, 특수평활표면처리로 표면이 미려한 무크롬 용융아연도금 강판을 2001년 상품화하여 가전제품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Shimizu는 크롬화합물과 PRTR 해당물질인 불소 및 망간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고성능 방식처리법, 내약품성이 뛰어나며 불소, 납, 주석을 함유하지 않은 소형디바이스용 전기절연 전착도료 등을 개발했다. Kobe Steel은 표면처리 주력회사인 Kakogawa제철소 개보수로 환경친화적 제품생산체제를 재구축하여, 2004년 4월부터 6가 크롬을 포함하지 않은 표면처리 강판 생산으로 전면적으로 이행하며 2005년 까지 6가 크롬 표면처리강판의 생산을 완전히 중지한다. Sony, Mitsubishi 등 전 가전사들도 2005년 중에 무크롬 표면처리제품으로 사용소재를 완전히 대체할 방침이다.

□ EU는 크롬 등 유해 중금속이 함유된 표면처리소재의 가전제품은 2006년 7월부터, 자동차는 2007년 7월부터 유럽시장에서의 판매를 금지하기로 결정했으며, 북미도 크롬사용 작업장규제를 강화하면서 유해물질 배출에 대한 환경 부담금을 증대시키고 있다.

□ 우리나라의 POSCO는 무크롬 표면처리강재 제조기술 개발을 글로벌 철강기술 리더십 확보를 위한 6대 중점추진과제로 채택하고, 2004년 하반기까지 가전용 무크롬 제품개발을 끝내고 2005년 상반기에 자동차용, 하반기에 건재용 등 총 12종의 무크롬 제품을 추가 개발키로 했으며 2006년 하반기까지는 100% 무크롬 표면처리제품으로 전환키로 했다. 이에 따라 최근 LG전자 등의 가전사들도 무크롬 철강소재 사용을 점진적으로 늘리고 있고, 현대자동차 등 자동차 제조사들도 2006년부터는 무크롬 철강소재를 전면적으로 사용할 전망이다.

□ 향후, 화성처리강판의 무크롬화의 중대과제는 원가 및 성능면에서 6가 크롬화물의 뛰어난 자기회복성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느냐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종제품의 실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내식성 평가방법으로 자기회복작용을 도와주는 피복재료 또는 고장벽성의 피막재료개발에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Japanese Plating Material Cooperativ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36(8)
잡지명
도금의세계(F005)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8~33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