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형의 수명향상을 위한 표면처리기술 개발사례

전문가 제언
□ 일본 Plastron의 IEPCO 표면처리는 플라스틱 금형 부품의 표면품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모양은 샌드블라스트장치(sandblaster)를 닮았지만 토출 에이전트가 10㎛ 정도의 극미세 분말이며, 토출 압력이 1bar 이하로 매우 낮아서, 모서리부의 손상 없이 부품표면의 불순물을 없애며, 미세분말에 의한 해머효과로 표면을 매끄럽게 해, 이형력을 종래의 1/10까지 떨어뜨릴 수가 있다. 작년부터 Shin Nihon Tec 등의 일본의 유수 초정밀금형 제작사의 가공현장에 세정용 및 피닝가공용으로 보급되고 있다.

□ 최근에는 일본·독일 등을 중심으로 표면처리공정의 자동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연마로봇·다축가공시스템 자동연마기 등에 의한 자동연마 작업이 숙련공에 의한 수작업을 대신하고 있으나, 아직 사용자의 기대를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연마공정의 자동화율 신장을 위해서는 새로운 연마공구의 개발 및 그에 맞는 연마가공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연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는 최근 금형제조공정에 있어서 NC공작기계, 방전가공기와 CAD/CAM 등의 최신시스템 도입으로 자동화 등의 형상가공기술은 상당히 진전되었으나, 최종품위를 결정하는 표면처리공정은 체계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 숙련공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 최근 기반기술의 발달과 함께 고속가공기의 등장으로 인한 그라인딩 센터의 사양화와 더불어 금형의 자동연마 가공기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증대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표면처리기술 분야는 전해연마, 전해자기연마 등의 복합연마와, 기능성유체의 자기장·전기장 하에서의 점성증가에 의한 응력을 이용하는 정밀연마 등의 응용기술개발과 동시에 미립자 고속 충돌에 따르는 표면처리재의 피로강도 특성, 처리된 금속표면의 마찰마모 특성, 표면처리에 따른 유동저항 절감 등의 기초기술 연구에도 많은 관심과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자
Shinichi WATANAB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18(12)
잡지명
형기술(N098)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3~57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