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형의 고수명화와 연삭가공

전문가 제언
□ 국내 금형산업은 2000년 생산규모면에서 3조2천억 원을 기록했으며 국제금형협회의 2000년 통계에 의하면 생산은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에 있어서는 세계 5위를 기록하고 있는 산업으로 금형의 수출입을 살펴보면 1990년도부터 흑자산업으로 자리매김한 뒤로 2002년도에는 수출 6억2,669만 달러, 수입 6,862만 달러, 무역수지 5억5,807만 달러 흑자를 달성한 산업이며 흑자 규모는 국내 전체 무역수지 흑자 규모의 6%에 해당된다.

□ 금형산업의 위치를 볼 때 외형적으로는 선진국 수준이라고 할 수 있으나 경쟁력 비교요소인 QCD(Quality, Cost, Delivery)측면에서는 중국에는 가격경쟁력에서 일본에는 품질 면에서 뒤져있다.

□ 중국 등 후발국가 업체의 강력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3D(Three Dimensional)와 CAD의 등장으로 2D(Two Dimensional)에서 축적한 기술 우위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향후 주력 시장이 경쟁국에 위치하고 있어 이에 대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사업을 수행해야 한다.

□ 국내 금형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으로는
○ IT, NT기술에 부응하는 산업구조로의 개편
○ 자동화 및 그린화
○ 금형기술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 금형산업의 고급화 추진
○ 국제협력 강화 및 수출 활성화
○ 정부의 지원과 경영자의 발전된 마인드
○ 금형산업에의 E-Business 적극 도입 등을 들 수 있다.

□ 금형기술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사업을 확대하고, 조속히 추진하는 것이 국내 금형산업의 동반발전을 위해 매우 필요하다. 또한, 고급 기술 인력을 양성하여 금형산업의 고급화 추진의 필요성과 국제협력 연구 및 수출활성화에 보다 많은 관심이 요구된다.

□ 정부의 지원 및 금형산업의 경쟁력 확보차원, 인력수급 차원 등을 위해 경영자의 인식전환과 작업환경 청결화 등이 선행되어야하며 E-Business의 적극적인 도입 등이 중요하다.
저자
Yukiyasu NAGAS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18(12)
잡지명
형기술(N098)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7~52
분석자
김*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