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낙 처리에 의한 금형수명 향상
- 전문가 제언
-
□ 1923년에 Fry가 철강표면에 내마모성 및 내납땜성을 얻기 위해 NH3 가스 중에서 질화하는 방법을 개발해 다른 열처리보다도 높은 경도와 열처리변형이 매우 적은 가스질화법을 개발했다.
□ NH3 가스질화법은 Cr, Al, Mo 등을 함유하는 질화강에만 이용할 수 있고 처리시간이 길었기 때문에 처리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각종 연구가 실시되어 염욕연질화, 가스연질화 등이 실용화되었다. 그 후 플라즈마와 진공을 이용한 이온질화, 진공질화가 출현해 종래의 처리법에 없는 장점을 갖게 되었고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 근년 유럽의 LUCAS사가 개발한 가스연질화 기술이 자동차 부품에 적용되어 그 응용범위가 차츰 확대되고 있다. 이 처리법은 가스연질화, 흑색산화 및 방청을 조합시킨 프로세스로써 피로강도, 내마모성, 내납땜성 및 내식성이 향상되고 처리표면이 블랙 피니쉬(black finish)이다.
□ 카낙법의 특징은 취약층이 없고 완만하고 안정된 경도분포가 얻어지므 로 경화층의 결손이나 박리가 생기지 않는다. 다이캐스트 금형업계에서는 금형, 입자, 핀 등에 적용되어 내마모 및 내침식성의 향상에 공헌하고 있으며 이 처리법의 적용은 확대되어 갈 것으로 예상된다.
□ 앞으로 새로운 코팅피막으로써 밀착성이 뛰어난 C-BN, i-C와 다이아몬드막 및 각종 산화막의 출현이 기대되는데 아직 내마모막으로서의 공업적 응용레벨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단순정보와 편파적인 데이터에만 빠지는 일없이 기초연구와 현장생산의 홈을 메우는 생산기술자의 실적을 평가해 실질적이고 착실한 공업화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Yasuhiro HORIKO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18(12)
- 잡지명
- 형기술(N09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1~46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