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기반 New AL-H형에 의한 30일 내의 금형 제작
- 전문가 제언
-
□ 제조업체는 개발기간의 단축과 원가절감을 위해 양산형(量産型) 제작 전에 만드는 시제작 형을 없애는 방법의 활용과 양산 형을 처음 제작할 때부터 형 완성도를 향상시켜 제작 공기를 단축하는 활동을 펴고 있다. 그러나 특히 시제작 형이 없는 활동은 제품 설계상 난이도가 높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서는 설계 변경이 많아, 양산 형에 변경사항을 적용시키기 위해서 형 수리비용이 커지고 수리기간이 길어지므로, 전체적으로 개발기간의 단축과 비용절감 효과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 기존의 AL-H형은 고정측 형과 가동측 형을 직선형(한 제조공정이 끝난 후 다음 공정으로 넘어 가는 방식)으로 제조하고 있어, 30일 제작을 위해서는 고정측 형, 가동측 형의 병렬제조(동시제조)가 필수조건이다. 그러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서는 크기도 크고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병렬제조가 쉽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RP모델이며, New AL-H형을 개발하여 30일 내에 형 제작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 RP의 특징을 파악하고 단점을 장점으로 활용하여, 금형 제작업체의 사명인 금형 납기의 단축을 이룰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을 하였다.
□ 최근 중국 금형의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우리나라 금형산업의 최대 이슈는 납기단축과 가격경쟁력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그 중에 RP를 이용하는 방법은 금형 제조업체들이 주목해야 할 분야로서, 디자인 단계부터 3D 설계가 일반화된다면 더욱더 RP의 장점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측된다. 금형의 납기단축을 고려하고 있는 금형관련 기술자들에게 필요한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 저자
- Tetsuo Ni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18(9)
- 잡지명
- 형기술(N09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0~34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