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찰학 견지에서 본 베어링 및 베어링강 니즈
- 전문가 제언
-
□ 궤도바퀴 및 전동체에 사용되는 베어링은 기계적 강도 및 구름피로 강도가 크고 경도와 내마모성이 높아야 한다. 또한 사용 중 치수 변화에 따른 성능 저하가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재료의 치수 안정성이 우수해야 한다. 그 외에 생산면에 있어서는 가공성이 좋아야 한다.
□ 베어링의 구름 피로 수명은 동일 소재를 사용하여도 산포가 발생하는데, 재료 중에 존재하는 비금속 개재물이라든가 기타 재질의 불균일성 등이 그 주요인이다.
□ 베어링 소재는 진공 탈가스 처리를 기본으로 정하고 재질의 편석도와 결함조직 유무를 엄격히 관리함으로써 베어링 성능의 산포도를 최소로 하고 있으며, 재료내 불순물에 의한 구름피로 성능의 저하를 더욱 줄이고자 할 때는 베어링 표면에 특수 열처리를 추가하여 수명의 향상은 물론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
□ 베어링의 일반적인 사용온도 조건은 120℃까지는 보장이 되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경도 저하와 베어링 부품의 치수변화 및 윤활문제 등으로 인해 사용이 곤란해 질 수가 있다. 이에 대한 재료로서의 대응을 위해 경도보상 및 치수안정화 처리방법이 개발되어 있으며, 350℃ 정도까지는 보장이 되어야 한다.
□ 베어링 표면에 인성을 갖는 금속상을 분산시킴으로써 이물을 포함하는 윤활조건에서의 균열전파를 억제할 수 있으며, 미세한 금속조직을 부여하는 열처리를 실시하면 구름피로 수명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 비금속개재물은 응력집중의 원인이 되며 일반적으로 그 모양이 큰 것은 피로한계를 저하시킨다. 강의 응고과정에 있어서 강 내로 석출되거나 말려드는 비금속성개재물은 매크로 조직시험과 마이크로 조직시험으로 조사한다. 국내 KS 규격에서는 KS-D-0204(강의 비금속 개재물의 현미경 시험 방법)에 규정되어 있는데, 비금속개재물은 기계장치의 경우 적을수록 좋다.
- 저자
- Akio Itana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52(5)
- 잡지명
- 특수강(M17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9~12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