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분야의 알루미늄화 현상(The Present Condition of Application of the Aluminium Alloy to a Construction Steel Frame)
- 전문가 제언
-
□ 최근 들어 경량화와 더불어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하고 재활용도 쉬운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건축을 포함하는 각종 구조물의 제작에 알루미늄 합금이 많이 활용되고 있어 건축구조와 관련된 설계의 규격화가 필요하다. 특히 알루미늄 합금 건축물의 건설과정에서 용접재료와 용접부의 기준, 중간검사 등 용접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며 건축물의 성능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진기술국은 알루미늄 합금 용접기술의 고급화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알루미늄 합금 건축물의 건설이 증가하면서 알루미늄 합금구조의 성능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알루미늄 합금 용접기술의 개발과 확보에 힘을 기울여야 하고 건설현장에서 용접규칙들을 철저히 지킬 수 있도록 법제정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관련 단체와 기관들이 힘을 합하여 알루미늄 합금 건축물 제작의 용접시공에 관한 규격을 수립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알루미늄 합금은 철강 재료와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이 많이 다르므로 건자재의 조립공장과 건설현장에서 철강 재료와 함께 작업을 하는데 많은 주의가 필요하며, 향후 알루미늄 합금 건축물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런 면에서 본고에서 기술한 알루미늄 합금의 건축기준과 알루미늄 구조물 제조 시 유의사항에 관한내용은 매우 유익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저자
- Tadao Nakakomi. Yuichi Ichik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41(10)
- 잡지명
- Jonal of Light Metal Welding & Construction(L09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11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