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무산소동의 현황과 금후의 전망(The Present and Latest TechnoIogical DeveIopment in Oxigen Free Copper)

전문가 제언
□ 무산소동은 산소 및 탈산제가 함유되지 않은 동으로서 은 다음으로 양호한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성이 우수하여 전기, 전자기기 및 부품 소재로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 무산소동은 순동의 한 종류로 다른 순동인 터프피치동의 단점인 수소 취화와 인탈산동의 전기전도율 저하라는 단점을 개선한 소재이다.

□ 무산소동의 제조법에는 진공용해법, 전기로 용해에 의한 가스환원제조법, 불활성가스 블로윙법 등이 있다.

○ 무산소동의 제조에는 진공상태나 무산화 가스 중에서 용해하여야 하며, 또한 고순도의 원료와 고도의 설비 및 기술이 필수적이다.

○ 외국의 경우, 무산소동을 제조하기 위한 용해, 주조 및 가공 등 전 공정의 능력을 갖춘 나라는 미국, 일본, 핀란드 등 수개의 국가에 불과할 정도로 무산소동의 제조기술은 하이테크 기술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LG금속이 진공분위기에서 용해 및 주조하는 방법으로 무산소동을 생산하였으나 채산성 관계로 사업을 철수하였고, 현재에는 원일사, 한국통산, 대한메탈, 동진금속 등 여러 중소기업체들이 무산소동의 생산에 참여하고 있다.

□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2000년 후반에 전기, 전자기기 배선에 사용되는 압착단자의 재료를 국제기준의 고품질 무산소동을 사용하도록 관련 기준을 개정한 바 있다.

○ 그 동안 무산소동의 국내 수급 등을 고려하여 터프피치동을 사용하여 동선용 압착단자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터프피치동은 산소함유량이 많아 제조공정 시 고온 가열로 인한 용접부위의 균열과 목 부위가 부러지는 등의 사례가 발생되어 통전 시 전기 스파크에 의한 화재나 단선의 원인이 되었다.
저자
Kenji YAJIMA, Masato KOIDE, Haruhiko ASA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1
권(호)
23(4)
잡지명
TRANSANTION OF THE MINING AND METALLURGICAL ASSOIATION KYOTO(G235)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23~334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