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마모 강판 「EPLATE」의 개발(Development of Wear resistant Plate "E-PLATE")
- 전문가 제언
-
□ 내마모, 내식성, 내열성을 갖는 합금의 용접재료를 모재표면에 균일하게 용착시킴으로써 재료의 표면성질을 개선하고 마모와 부식을 심하게 받는 제품과 부품의 품질과 수명을 높여 주고 있으며, 최근에는 내마모성과 내식성 및 내열특성을 갖춘 부가가치가 높은 내마모 강판(wear plate)의 생산과 활용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고Cr 탄화물형인 고Cr 철계 합금은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우수한 내마모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극심한 마모가 발생하는 금속과 금속간의 마모, 응착, 마멸 등을 방지하는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량도 타 종류에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많기 때문에 키스웰(고려용접봉)을 비롯한 국내의 용접재료 산업계는 외국산 제품보다 품질이 우수한 국산제품을 개발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내마모 강판(wear plate)의 생산방법은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아크육성, 플라즈마 아크 육성,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등과 같은 육성 용접법은 위주로 제작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주파 용착법과 같은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어 소개되고 있다. 국내의 용접재료 산업계에서 본고의 Daido Steel(주)의 고주파 용착법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고온경도실험 외에도 고온 마모실험에 관한 자료가 필요하고 탄화물의 분포뿐만 아니라 탄화물의 형상도 함께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고주파 용착법과 비교 분석한 육성 용접법에 관해서도 용접방법과 용접재료 등의 구체적인 내용을 함께 분석하면 국내의 용접재료의 기술개발에 유익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저자
- Takeshi Hasegawa,Tetsuya Kondo,Tadashi Noda.Akira Horata-Takashi Matsumoto and Yukio OhK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74(4)
- 잡지명
- DENKI-SEIKO [ELECTRIC FURNACE STEEL](F1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79~282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