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하수오니 탄화시스템의 제어(Control System on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of Sludge)

전문가 제언
□ 하수오니를 원료로 한 탄화물은, RDF-4 수준(powder RDF로 ASTM에 의한 분류기준)의 폐기물 고형연료(RDF, refuse derived fuel)에 해당되는데, 이는 다른 화석연료와 같이 수송이나 저장이 가능하며, 산업용 연료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우리나라의 하수오니 발생량은 2002년 말 기준 201개 하수처리장에서 약 5,700ton/day이 발생하고, 이 중 해양 배출 72%, 소각 10%, 매립 9%, 자원화 9% 등으로 처리되어 왔다.(2003년 환경부 통계) 한편 해양 배출은 2004년부터 금지되고 있기 때문에, 지렁이를 이용하는 퇴비화나 RDF 제조공정들에 대한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 국내에서는 다른 종류의 폐기물로 시험제조한 RDF로 하수오니를 소각하는 공정에 관한 연구결과와, 해외에서의 도입기술인, 하수오니에 발열량이 큰 폐플라스틱이나 석탄을 혼합하여 RDF를 제조하는 기술들이 보고 된 바 있다.

□ 국내에서의 하수오니를 원료로 한 RDF 제조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각 하수처리장별 오니의 대표적인 특성(발열량, 수분 등)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오니를 탄화처리하기까지의 각 요소 기술들은 다른 원료로부터 축적된 경험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된 RDF를 실제의 효율적인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조업조건에 대한 기술개발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Setsuya Morin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74(3)
잡지명
DENKI-SEIKO [ELECTRIC FURNACE STEEL](F15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99~204
분석자
김*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