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구조물용 용접재료(Welding Consumables for Offshore Structures)
- 전문가 제언
-
□ 최근 심해 유전의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해양구조물 형태가 종래의 고정식 설비 시장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부유식 원유 시추설비와 플랜트 시설 쪽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해양구조물에 요구되는 용접품질은 일정 수준의 파괴인성과 용접성을 갖추어야만 실구조물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부가가치가 높은 해양구조물용 용접재료는 용접모재와 용접시공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개발할 필요가 있다.
□ 해양구조물 제작에서 많이 사용되거나 또는 사용될 용접재료는 용접품질과 용접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자동화가 용이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가스 메탈 아크 용접재료 등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용접재료가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서 본고에서 강조한 용접금속의 충격인성, 저온균열 저항성외에도 저스패터가 요구된다. 또한 용접금속의 저온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아크 용접 재료의 피복제와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플럭스의 저 수소화외에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재료의 저수소화가가 필수적이며 용접부내의 확산성 수소를 관리하는 기술을 함께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조선과 더불어 우리나라 대형구조물 산업의 중추를 맡고 있는 해양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와 함께 세계시장을 지배하는 일본의 기술력을 능가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용접재료 분야에서 우리의 강력한 경쟁 상대인 Kobe Steel의 기술 분석이 필수적이다.
- 저자
- Kazuyuki Suenag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53(2)
- 잡지명
- R&D Kobe Steel Engineering Reports(L18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85~89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