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응력 및 변형해석의 활동보고와 향후 전망(Review on experimenta| stress and strain ana|ysis)
- 전문가 제언
-
□ 기계가공, 압연 및 용접과 같은 재료 공정, 연결 조작에 의하여 생긴 불균일한 소성변형, 구조물의 하중 등으로 인하여 항공기, 교량, 원자로 같은 많은 공학적 구조물과 기계부품에 많이 발생하게 되는 역학적 변형과 응력들은 기계 및 구조물의 손상과 파괴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 구조물을 용접할 경우에는 열전도에 따른 온도 분포의 불균일 때문에 구조물에서 잔류응력 및 변형이 발생되게 된다. 열전도에 따른 구조물의 거동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열탄소성 해석이 필요하다.
□ 최근 가속화되어 가는 산업발전으로 인하여 구조물 및 기계부품의 정밀측정에 대한 요구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또한 기계 구조물의 보수 유지 및 안전 진단의 차원에서 모든 공학적 구조물에 내포되어 있는 변형과 응력에 대한 측정 및 해석은 구조물의 수명과 관계되므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 빠르고 안전성 있는 측정 및 해석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홀로그래피(holography) 간섭법과 전자 스팩클(speckle) 간섭법을 이용한 변형 및 응력의 측정은 이를 만족할 수 있는 계측방법이 될 수 있다.
- 저자
- Eisaku UMEZ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52(8)
- 잡지명
- Jonal of JSNDI(M15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95~400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