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방사선 투과시험의 활동보고와 향후 전망(Review on Radiographic Testing)

전문가 제언
□ 방사선 투과검사는 재료, 기계류 부품, 구조물의 결함을 탐상하는데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특히 용접부의 경우 비파괴검사 방법 중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이에 따라 선진기술국들은 재료, 기계류 제품, 그리고 구조물의 건전성을 점검하고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방사선 투과검사를 비롯한 비파괴 시험기술의 고급화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최근 정보처리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금까지 필름의 제조와 현상처리에 따르는 자원낭비와 환경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디지털 래디오그라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방사선 투과검사를 포함한 비파괴검사 결과의 객관성과 신뢰성의 확보는 검사 대상물의 품질을 판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디지털 래디오그라피와 같은 지능화시스템을 개발하고 작업에 적용할 때에는 기존의 검사기술 코드와 최근까지 개발된 기술을 총망라하여 새로운 검사환경에 적합한 수행지침과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 디지털 래디오그라피 기술은 CR(computed radiography), CCD(charge coupled devices)를 이용한 직접 디지털 영상장치(direct digital radiography, DDR), a-Si 검출기 또는 a-Se를 이용한 직접 디지털 영상장치 등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산업현장에 적용되면 구조물의 방사선 투과검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널리 이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나라도 건축, 조선, 재료, 에너지 장치산업 등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디지털 래디오그라피 시스템을 활용하는 방사선 투과검사기술을 개발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Okamoto가 정리한 일본 방사선 분과회의 “방사선 투과시험의 활동보고와 향후 전망”에 대한 정보는 국내의 방사선 투과검사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Ken-Ichi Oka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52(8)
잡지명
Jonal of JSNDI(M158)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76~380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