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견의 구조와 섬유 형성(Structure and fiber formation of silk)

전문가 제언
□ 합성섬유는 저원가의 대량생산 방식과 강·신도 등 기계적 물성의 장점으로 70년대 초까지는 급격한 신장을 했으나, 촉감, 흡습성의 부족에서 오는 정전기 발생, 그리고 금속광택 등의 문제로 견, 면, 울(Wool)과 같은 천연섬유에로 모방이 70년대 중반부터 일어났다.

□ 섬유기술개발이 진행되면서 합성섬유 및 플라스틱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량의 석유와 고에너지가 필요한데, 생물은 태양에너지, 물, 산소, 일산화탄소, 금속이온으로 섬유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누에의 실 만드는 과정을 면밀히 분석하여 저에너지 생산방식의 가능성을 되 살펴보았다.

□ 앞에서 설명했듯이, 최근의 고기능성, 고내열성 섬유들은 누에가 실시하고 있는 방식으로부터 그대로 기술을 베낄 수 있는 데, 고강력, 고탄성으로 대표되는 케블라는 라이오트로픽(네마틱) 액정방사로 결정화도를 70%이상 실현시켜 물성을 얻었고, 가볍고, 강도가 케블라에 버금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도 겔방사법으로 그 물성을 달성했고, 중공막은 상분리를 통한 방법이 가미 되었다.

□ 이상과 같이 현재는 저에너지의 공법까지는 도달되지 않았지만, 자연이 가르쳐 준 기술이 하나하나 실용화의 길에 있으므로 좀 더 면밀한 연구와 실용화에 힘을 넣어야겠다.
저자
AGOSHI Jun and MAGOSHI Yoshik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3
권(호)
73(12)
잡지명
KINZOKU(Materials Science & Technology)(A11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2~33
분석자
임*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