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형 실리콘 태양전지(Amorphous silicon solar cells)
- 전문가 제언
-
□ 태양전지의 개발목적은 기존 전력 에너지와 비용면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과 아울러, green energy를 얻을 수 있다는 점으로 유비쿼터스 전원으로 활용하는데 더 큰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태양전지의 개발과정을 보면 다결정실리콘 태양전지의 발전을 비롯해서 수소화에 의해 얻어진 무정형실리콘을 디바이스로 활용하는 태양전지, 그리고 앞으로는 무정형 실리콘과 미결정실리콘의 경계영역의 특성을 이용한 연구로 볼 수 있다.
□ 무정형 실리콘의 가장 큰 결점은 광열화로 인한 고효율 저해 요인이 된다는 점이다. 열화후의 변환효율은 현재 실험실 수준에서도 9%정도에 머물고 있다. 앞으로 실용화를 위해서는 적어도 변환율 10%에 도달하여야 경쟁력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로 우선 광 열화를 줄이는 막을 만들기 위한 기술을 더 발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이론적으로 dangling bond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미치는 영향 등을 더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KONDO Michi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73(9)
- 잡지명
- KINZOKU(Materials Science & Technology)(A11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6~20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