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잔류응력의 해석과 측정(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residual stress with welding)

전문가 제언
□ 국부적으로 급열․급랭을 겪는 용접부에 발생하는 용접 잔류응력은 용접부의 취성파괴를 일으키고 피로강도와 내식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용접구조물의 품질을 확보하고 수면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 발생원인의 철저한 분석과 이를 토대로 하는 방지 기술 및 제거 기술의 확립이 매우 중요하다.

□ 원자력 핵반응로의 304 스테인리스강 순환계 배관 용접부의 용접열영향부 부근은 인장 잔류응력으로 인하여 응력부식균열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 원자력 발전설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반드시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사항이며, 이와 같은 현상은 우리나라의 원자력 발전시설에서도 필히 확인되어야 할 내용에 해당된다.

□ 고유 변형법에 의한 잔류응력의 간이 평가법은 매우 경제적인 비파괴 검사법으로서 우리나라의 현장 데이터를 축적하여 정리하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용접 잔류응력의 감소 방안으로서 제시한 고주파 가열 응력개선법(IHIS), 워터젯피닝법과 함께 재료의 항복응력은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하중을 가하여 이를 잔류응력과 중첩시켜 이를 재료 내에서의 실제 응력이 항복강도를 넘게 하여 소성변형을 유도하여 잔류응력을 완화시키는 기계적 응력완화법(mechanical stress relief method, MSR) 등의 잔류응력제거 방법을 함께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
HAYASHI Mak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73(8)
잡지명
KINZOKU(Materials Science & Technology)(A112)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7~21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