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연솔더의 실용을 둘러싼 EU의 규제와 기술의 현상(European legislation on leaded solder and R&D of lead free soldering)
- 전문가 제언
-
□ 유럽연합은 솔더링 접합기술에서 특정 유해물질의 사용을 금지하는 지침(WEEE & RoHS/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ipment,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 등에 근거하여 2006년 7월 1일부터 환경에 해로운 납, 카드뮴, 수은, 6가 크롬 등의 화합물을 배출하는 제품을 규제하는 동시에 납 성분을 갖고 있는 유연 솔더를 대신에 무연 솔더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는 시행령을 시작한다.
□ 한편 무연 솔더는 솔더의 제조와 솔더를 사용한 전기․전자기기의 실장작업에서 지구의 온난화를 가져오고 있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유연솔더에 비해 적어 친환경적인 접합재료로 많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 이에 따라 미국과 일본, 유럽 등은 JEITA, NEMI, IMS, JIEP, JIEP 등의 대형 연구 과제를 통해 환경친화적인 무연 솔더의 개발을 체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우리와 경쟁상태에 있는 해외선진국의 이와 같은 움직임에 대응하여 국내의 전자・전기, 통신 산업은 고급 솔더링 공정시스템의 개발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엄격한 환경기술 측면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고품질 솔더의 개발에 집중적인 투자를 할 필요가 있다.
□ 현대의 반도체,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와 관련하여 솔더링 접합기술의 중요성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솔더는 관련 부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산학연 관련분야는 친환경적인 무연 솔더의 국산화를 통한 솔더링 재료의 자립화와 솔더링 제품의 품질향상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저자
- Katsuaki Sugan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73(7)
- 잡지명
- KINZOKU(Materials Science & Technology)(A11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0~51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