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연솔더의 도입에 따른 환경부하의 평가(Assessment of environmental impact followed by introduction of Pb-free solder)
- 전문가 제언
-
□ 최근 전자 및 정보통신기기 산업에서 환경기술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시대적 상황을 맞고 있다. 현대의 반도체,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와 관련하여 솔더링 접합기술의 중요성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솔더는 관련 부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유럽연합은 솔더링 접합기술에서 WEEE와 RoHS 등에 근거하여 친환경적인 솔더의 사용을 위한 규제를 시작하고 유연 솔더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무연 솔더의 개발이 필수적이며 이에 대비하여 국내의 전자・전기, 통신 산업은 점차 치열해지고 있는 세계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고급 솔더링 공정시스템의 개발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엄격한 환경기술 측면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고품질 솔더 개발에 집중적인 투자를 할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 현재 미국과 일본, 유럽 등은 JEITA, NEMI, IMS, JIEP, JIEP 등의 대형 연구 과제를 통해 체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국제학술대회 등을 통해 환경친화적 솔더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들을 발표하고 있다. 우리와 경쟁상태에 있는 해외선진국의 이와 같은 움직임에 대응하여 국내의 관련 산업계, 학계, 연구계는 무연 솔더의 국산화를 이루고 우리나라의 환경친화적 솔더링 접합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진행 할 것으로 예상된다.
□ Sn37Pb 솔더와 Sn8Zn3Bi 솔더를 사용하는 표면처리 공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에 관하여 기술한 본고의 내용 중에서, 표에 제공된 자료(<표 1> 참조)는 Sn37Pb 솔더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Sn8Zn3Bi 솔더의 35배에 달하는 값을 보여주고 있는데 반해 이에 대한 본문의 설명에서는 Sn37Pb 솔더가 Sn8Zn3Bi 솔더의 15배에 달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서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Eiji Hirao, Shinya Nakamoto, Jun Fuji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73(7)
- 잡지명
- KINZOKU(Materials Science & Technology)(A11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7~21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