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능률화를 실현하는 파형제어 용접전원(Waveform Controlled Power Supply for High-efficiency Welding)
- 전문가 제언
-
□ 현재 국내에서는 아크용접기의 인버터 제어방식의 용접전원은 상당히 개발되었으나 용접 인버터 디지털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용접전원 제어의 중요기술인 주 회로제어, 순서 제어, 전류파형 제어 등을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탑재된 시스템으로 발전시켜야 하며 저항용접기 부분은 대부분 용접기 제조회사의 선진국제품에 대한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에 의한 기기 개발이거나 자동차 회사 등 기기 사용현장에서 시행착오에 의하여 성능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실제로 품질이 인정하는 범위에서 경제적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인력, 시간 및 투자비가 소요되므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다. 주요 기술개발 필요 과제는 스패터 억제기술, 안정된 고속 용접기술, 용접DB 탑재기술, 내구성 용접전극 개발기술 등이다.
□ 국내 용접산업은 기술력의 문제 외에 전문인력 부족의 심각성을 갖고 있다. 일본의 경우 용접기가 마이크로 프로세서화 되어 생산되고 있고, 세계적인 흐름에도 플라스마, 레이저 용접기 등 하이테크를 요하는 용접기 개발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 용접산업은 국가 기반산업임에도 불구하고 홀대받고 있는 실정이다.
□ 차세대 용접 및 접합기술은 보다 정밀하거나 고속으로 혹은 여러 종류의 합금을 용착하는 복합기술로 이어져야 하며 이러한 산업변천에 조화된 용접기기를 개발하기 위해 세계의 많은 용접기기 업체들은 발 빠른 개발을 시도해야 한다.
- 저자
- Tsuneo Mi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51(12)
- 잡지명
- Journal of the Japan Welding Engineering Society(A1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99~109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