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입열 높은 층간온도에 대응하는 CO2 용접 솔리드와이어(Features of the NewIy Developed SoIid Wire for CO2 Gas Shielded Arc Welding under Large Heat Input and High Interpass Temperature Conditions)

전문가 제언
□ 건축철골 분야에서 용접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며 철골구조의 성능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진기술국들은 용접기술의 고급화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건축철골 구조에서 기둥과 보가 교차하는 지점인 기둥과 보의 접합부는 건축물 외부와 내부에서 전달되는 정하중과 동하중을 많이 받는 곳으로 강도와 인성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며 금번에 Nippon Steel & Sumikin Welding Co.에서 개발한 새로운 건축용 강재인 「EzWELD 강재」와 CO2 용접용 와이어인 「EzWELD 와이어」는 철골 구조부의 기둥과 보의 접합부 성능을 확보하는데 많은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건설 현장에서 바람이 불거나 우천 시 또는 습기가 많은 상태에서 기둥과 보의 접합부를 용접으로 조립하는 경우 용접금속에 횡 균열이 발생하여 건축물의 품질과 수명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EzWELD 와이어」와 같은 용접재료를 사용할 때에는 용접재료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지시내용을 따라 현장 용접을 하기에 앞서 건설현장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접부의 저온균열 실험과 모의 시편 시험을 실시하여 용접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용접조건을 도출한 후에 실구조물에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중동을 비롯한 동남아, 남미 등의 건설시장에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형 철골구조물에 대한 용접기술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건축용 강재의 개발과 용접시공기술은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의 용접센터에서, 건축용 강재의 CO2 용접용 와이어의 개발과 생산은 KISWEL(고려용접봉)을 중심으로 일부 품목에 대하여 진행되고 있는데 일본을 포함한 경쟁국보다 앞서기 위해서는 품종의 다양화와 우수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본고에서 제공하는 기술 정보는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는데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Muneyasu Tsukamoto, Isao Hatano, Kimihiro Tsuji, Yoshiaki Murata,Yasuo Ichinoh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51(12)
잡지명
Journal of the Japan Welding Engineering Society(A114)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94~98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