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액상소결 W-Mo-Ni-Fe합금에서 Mo의 역할(RoIe of Mo in Liquid-phase -sintered W-Mo-Ni-Fe Heavy Alloys)

전문가 제언
□ “액상소결 W-Mo-Ni-Fe합금에서 Mo의 역할”은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Tung-Nan Institute of Technology, Taipei, Taiwan에 근무하는 Kuan-Hong Lin외 두 과학자에 의하여 집필한 것을 J. Jpn. Soc. Powder Metallurgy Vol. 50, No. 11 (2004)에 실린 논문이다. 다양한 참고문헌을 인용하였다.

□ 논문의 내용은 합금소재를 만드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물질이 들어가서 학금의 품질을 떨어트리는 경우를 상정하여 그 구성성분 중의 하나의 거동을 면밀히 관찰하고 분석하여 그 원소가 합금제조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 있다.

□ 합금은 2종류 이상의 금속을 융점이상의 온도에서 녹여 혼합한 것을 냉각하여 응고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만든 합금조직에는 고용체, 공융혼합물, 또는 화합물(금속간 화합물)이 있다. 이 가운데 금속간 화합물이 합금 가운데 생성하여 합금의 물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 금속간 화합물이 합금제조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은 불가피한 현상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논문은 W-Mo-Ni-Fe합금제조에서 Mo의 농도를 과량으로 했을 때에 W-Mo 입자표면에 MoNi형의 금속간화합물이 생성하여 그 영향이 합금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 금속간화합물이 합금의 냉각과정에서 해결될 것으로 결론을 맺고 있다. 그런데 4개원소로 된 금속학금에서 이보다 더 많은 금속간화합물이 생성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금속간 화합물은 화합물의 결합이론에서 정수비가 엄격하게 적용되는 화합물이기 때문이다.

□ 이 논문은 매우 기초적인 것을 다루고 있어 기초과학분야에서 응용으로 연결하는 좋은 논문으로 보인다. 다만 구성하고 있는 합금성분에서 다른 성분도 과량 첨가하여 냉각속도를 달리함으로서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지를 계속 검토해보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저자
Kuan-Hong Lin, Chen-Sheng Hsu, Shun-Tian Lin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50(11)
잡지명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Power and Power Metallurgy(c051)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004~1008
분석자
박*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