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시아 도가니에 의한 Ti-6Al-4V합금의 용해와 주조결함(Melting of Ti-6Al-4V Alloy Using CaO Crucible and InternaI Defects of its Castings)
- 전문가 제언
-
□ 현재 국내에는 티타늄 잉곳를 압연, 단조하여 판, 봉, 관재 등과 같은 원자재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과 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티타늄 소재의 잉곳 생산기술이 없어 티타늄 원자재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 원자재와 함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티타늄합금 부품의 정밀성형 기술 중 경제성과 복잡형상의 소량 다품종 생산 측면에서 유리한 정밀주조기술의 개발 역시 잉곳 용해기술과 더불어 시급한 실정이다.
□ 티타늄합금 정밀주조 기술의 핵심은 반응층과 주조결함이 최소화된 건전한 주물을 얻는 것으로서 금속-주형 반응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주형재 개발과 최적주조방안 설계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 티타늄 합금 용해기술과 정밀주조 성형기술을 확립하고, 티타늄 합금의 응용범위 개척을 위하여 저비용 신합금 개발, 티타늄계 합금 방향성 응고기술 개발 등의 주변기술 확립이 필요하다.
□ 열전도 특성 등을 고려한 응고해석을 통하여 잉곳의 주조조직과 결함 등의 예측 분석이 필요하며, 티타늄 합금의 주조성을 평가하기 위해 티타늄 합금과 세라믹 주형과의 반응성과 여러 티타늄합금 용탕의 유동성을 정량적으로 측정 비교할 필요가 있다.
□ 티타늄 합금 부품과 소재의 국산화를 위하여 저비용 티타늄 신합금의 설계 및 소재특성 평가연구와 주변 요소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S. Uchida, K. Kamata, N. Tanaka and O. Yanagis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75(11)
- 잡지명
- Journal of JFS(c05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69~776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