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ower MEMS 기술동향

전문가 제언
□ MEMS관련 대표적 국제회의의 하나인 IEEE International MEMS 2002에서 Power MEMS분야가 독립분과(session)로 결정되고 이 분야의 연구발표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이후 Power MEMS에 관한 국제적 Workshop이 미국, EU, 일본에서 개최되고 있다. IT분야의 각종 소형·휴대용 기기들의 에너지원을 MEMS기술에 의해 가공 제작되는 연구가 국제적 관심을 끌고 있음을 의미한다.

□ 이 자료는 일본 기술지 「표면기술」의 특집 “MEMS의 현황과 장래전망”의 일환으로 일본 산총연(AIST)의 고바야시 등이 작성한 Power MEMS에 관한 내용으로서, 시스템의 마이크로화를 지향하고 있는 정보통신 분야에서 에너지원인 마이크로연료전지 등 Power MEMS의 현황과 전망을 다루고 있다.

□ 소형 에너지원으로서 리튬이온 전지, 태양전지 등이 실용화 중이지만, 축전에너지밀도와 출력밀도에 한계를 보이고 있어, 이들의 고밀도화와 함께 MEMS기술에 의한 대형 연료전지의 마이크로화가 주요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이미, 노트북 PC용 마이크로연료전지가 실용화단계에 접어드는 추세이며, 소형화와 내구성에서 보다 엄격한 기준을 요구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인 디지털 카메라, PDA, 휴대전화 등의 Power MEMS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외에 운동-전력 변환, 열-전력 변환, 광-전력 변환분야에서의 MEM S기술 응용현황과 과제 등도 다루고 있다.

□ 휴대형 전자통신기기기술 분야는 우리나라가 지향하는 전략적 산업기술로서 이미 세계적 경쟁상태에 진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료전지기술은 미래의 산업적 경제적으로 예상되는 충격전망에 비해 국내연구개발 수준이 선진국과 격차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우선 노트북PC의 Power MEMS로서 실용화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마이크로 연료전지의 자체개발력 확보가 중요한 과제이며, Power MEMS기술 전반에 대한 산학연의 공동 노력과 국가 정책적 대응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저자
Takeshi KOBAYASHI. Masaaki ICHIKI, SHAN Xue Chuan. Koichi OZAKI and Ryutaro MAE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3
권(호)
54(10)
잡지명
Journal of the surface finishing society of japan(c135)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655~659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