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VOC 규제
- 전문가 제언
-
□ 세계적으로 자동차가 가장 많은 미국이 로스앤젤레스의 광화학 스모그로 인한 환경 사고를 겪으면서 뒤늦게나마 VOC에 대한 규제를 세계적으로 처음 구체적으로 규정하였고, 제2의 환경오염 물질인 오존에 대한 피해와 그 원인이 VOC며 자동차가 또한 VOC배출의 원인임을 알게 하였다.
□ 많은 주 정부가 연방정부의 대기정화법을 기본법으로 삼고 이 기본에 충실하게 각 주의 실정에 맞는 규정들을 정하여 마땅히 해야 할 것을 하는 자세로 감시하고 규제하여, 오존의 농도를 대기질 기준농도 이하로 유지시켜왔다. 새로운 청정연료와 전기차를 개발하여 VOC를 배출 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는 미국의 환경 정책을 세계가 수용해야 할 것이다.
□ 특히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환경문제는 마지못하여하는 실정인 것 같다. 전국적으로 자동차가 1000만대가 넘고 도시생활자가 3000만 명 이상인 현실을 감안할 때 VOC의 배출량을 어서 속히 저감 시켜야한다. VOC에 대한 규제가 법률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자발적이지 못하고 억지로 순간만 모면하려고 하는 우리들의 환경관념이 새로워져야 한다. 환경부의 업무가각 지방자치단체로 이관되면서 오히려 환경오염문제가 심하여지고 있는 현실과 눈에 보이는 자동차의 매연도 스스로 지키지 못하고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현실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VOC를 규제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임에는 틀림이 없다.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들을 잘 지도해야 하며 일관된 정책과 홍보, 지도 및 규제와 감시를 해야 한다. 동시에 연료개발과 전기자동차의 개발 등으로 자동차로 인한 VOC문제를 해결하고, 도료의 개 질과 공정의 개선 등으로 VOC사용량을 줄이고, 각 재료별로 VOC의 원인이 되는 물질의 사용량을 규정하여 VOC발생량을 저감시키도록 하여 이 땅에 환경재해를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
- 저자
- Tadashige NO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54(9)
- 잡지명
- Journal of the surface finishing society of japan(c13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71~576
- 분석자
- 박*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