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대형 단조용 프레스기를 이용한 혁신적 부품소재의 개발(Development of Innovative Member Utilizing Ultra-heavy Forging Press)

전문가 제언
□ 단조기술은 프레스 또는 해머를 이용한 외력에 의해 단순형상의 원소재를 복잡형상으로 성형하는 기술로서 미국, 독일, 일본 등의 단조기술 선진국에서는 주조, 기계가공 등과 같은 경합공정에 비해 품질,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개선 노력과, 단조 후의 기계가공을 최소화하는 니어넷세이프(near-net shape) 성형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최근에는 금형설계, 단조금형 가공에 있어서의 컴퓨터 응용기술, 단조용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 개발, FEM에 의한 단조 시뮬레이션의 개발, 단조지능화 소프트웨어의 개발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 단조기술의 발달은 보다 정밀하고 복잡하며, 고기능을 필요로 하는 제품의 경제적 생산을 지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기계의 자동화·고속화를 도모하여 여러 가지 특수단조기가 개발되어 있다. 다램(多ram)단조기는 왕복운동을 하는 램을 여러 개 사용하여 이것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각각의 램에 금형공구를 부착하여 소재의 여러 곳을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작업속도의 신속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램의 작동에서 공구 교환을 포함한 모든 것을 계산기로 제어하여 작업속도와 제품 정밀도를 향상시킨 열간자유단조기도 있다.

□ 국내의 단조 기술은 일부 업체를 제외하고는 대개 경험이 적고, 소규모이며 일본, 미국, 독일 등 단조 선진국과 비교하여 보면 매우 낙후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도 자동차를 중심으로 수송기기 산업과 반도체 및 통신 산업, 정밀기계류 산업 등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단조업체 자체로 기술개발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정부의 지원을 통한 산·학·연 공동기술개발로 국내 단조업체의 기술개발여건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

□ 앞으로의 세계 단조시장은 미국의 경우 부가가치가 높은 항공, 우주산업에서 비철단조품 적용 비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며, 일본·독일의 경우는 미래형 고부가가치 산업에서의 단조기술 발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중국, 인도, 대만, 말레이시아 등 후발 단조기술 보유 국가는 저임금의 노동력을 발판으로 한 생산량을 증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
K. Osaka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44(9)
잡지명
sokeizai(e127)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12
분석자
김*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