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무연 동합금 주물 및 표면처리에 의한 수도물 중의 납 용출 저감(Reduction of Lead Dissolution into Tap Water Utilizing Lead Free Alloy Castings and Surface Treatment)

전문가 제언
□ 수도관의 내부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은 수질을 고려한 관재질의 선정 및 시설의 설계, 관내부에 내식성 비금속을 코팅하는 방법, 수처리로서 탄산칼슘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 부식 방지재를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 인산염 방청제는 Ca2+ Zn2+이 공존하면 상승효과를 나타내지만 수중에서 가수분해되어 인산칼슘을 생성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첨가해야 한다. 인산염은 Fe3+이온과 킬레이트(chelate)를 형성하거나 Fe2+의 산화를 억제함으로써 녹물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나 그 주입농도의 크기에 따라 부식을 더욱 촉진시킬 수도 있고 과다사용하면 인체건강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 납중독으로 인한 가장 큰 유해성은 중추신경계 장애이다. 납이 일단 두뇌조직에 침입하면 뇌세포 간 연락에 장애를 초래하며 심한 뇌 중독 증상을 일으킨다. 회복은 거의 불가능하며, 심한 흥분과 정신착란, 경련, 발작 등을 동반한다.

□ 우리나라는 납중독에 대한 경각심이 낮은 편이며, 체계적인 연구도 부족하다. 우리나라는 이미 대기수질 토양에 의한 오염과 각종 상품, 식품 등으로부터 심각한 상태의 납중독에 노출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책과 조사, 교육, 캠페인이 미미한 실정이다.

□ 미국에서는 음용수 이송 동관으로부터 인체 유해 물질인 납 용출을 막기 위한 법규(NSF61규정)가 제정되어 동관제품에 대한 규제를 하고 있다. 이 규정에 의하면 납 용출을 11ppb 이하로 낮추어야하나, 현재 국내에서 제작되는 동관이음쇠는 납 함유량이 7~8% 정도이며 납을 제거하는 처리공정 시스템이 전무한 상황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무연 동합금주물 개발과 표면처리에 의한 수돗물중의 납 용출 저감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저자
T. Fujii, T. Okane, H. Katoh, T. Ume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44(8)
잡지명
sokeizai(e127)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14
분석자
김*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