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대응형 윤활제 개발과 열간단조에의 응용(Development of Lubricant Respond to Environmental Issue and Its Application to Hot Forging)

전문가 제언
□ 단조의 금형은 소재의 강도와 연성, 변형속도와 마찰특성, 소재의 형상과 복잡성 등을 고려하여야 하고, 저항이 최소인 방향으로 소재 재료를 유동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윤활제는 소재의 냉각속도를 늦추고 금속의 유동속도를 좋게 하며, 단조물이 금형으로부터 잘 분리되게 하는 이형제로 사용된다.

□ 열간단조 기술은 주변기술을 포함해 최근 10년간에 급속히 개발되었다. 제품의 정밀화, 품질의 향상 및 작업의 자동화, 성력화가 진전되어 공해안전문제에서 제약을 받고 있으며 오일쇼크에 의해 연료가 비싸져 자원절약과 에너지절약의 요구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 최근에는 원가절감을 위해 단조후의 여열을 이용한 자열풀림법이나 V, Nb를 함유한 소재를 사용하여 담금질과 뜨임을 생략하는 강이 개발되어 공정생략으로 원가절감에 기여하고 있다. Cr-Mo강의 대신에 B를 함유시켜 담금질 성능을 향상시키는 강도 개발되었다.

□ BW-100은 흑연계 수용성 윤활 이형제로서 흑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온 안정성 화합물이다. 이 제품은 매연, 악취, 독가스가 없으며 안전하고 안락한 공장 작업환경을 확신시키면서 어려운 금형의 윤활성 문제를 해결하며 금형 수명연장 및 피단조품을 고도의 가공성으로 높여 주는 역할과 금형수명을 연장시켜준다.

□ 윤활제의 선정과 윤활성능평가는 매우 어려워 안정된 생산라인에서의 실용테스트로 평가하는 수밖에 없지만, 범용적인 데이터가 되기 어렵다. 범용성이 충분한 윤활제의 기본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시험법에 의한 데이터와 실용 면에서의 데이터 복합해석이 필요하다.
저자
S. Kikuc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44(7)
잡지명
sokeizai(e127)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9~14
분석자
김*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