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트륨-유황전지 전력저장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2003년 8월에 발생한 미국 북동부와 캐나다에 걸친 대규모정전은 철도, 빌딩승강기의 정지, 공장조업정지, 항공기의 항공취소 등 5,000만 명이 영향을 받았다. 이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대체전원 확보가 필요하다.
□ 전력저장은 전력저장 본래의 부하평준화에 추가하여, 계통안정화 또는 전압안정화의 대책으로 높은 응답성과 전압유지능력이 요구되고 있고 동시에 기간계통에서 이용 가능한 용량규모가 필요하다. 계통안정화의 관점에서 전지전력저장과 초전도전력저장을 들 수 있고, 전압안정성 대책으로 압축공기저장과 플라이휠전력저장을 고려할 수 있다.
□ 나트륨-유황전지(NAS전지)는 야간의 전력을 축적하여 주간에 이용함으로써 부하평준화를 실시할 수 있고 전력저장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부하평준화용 NAS전지시스템, 비상용전원겸용 NAS전지시스템, 순저대책기능을 가진 NAS전지시스템 등이 있다. 수요자로서는 전기요금삭감이나 전력품질향상을 위해서, 전력회사는 전력설비의 효율적 운영에 의한 발전․유통경비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는 기기로서 많은 이용이 기대된다.
□ 전력저장용 레독스 흐름전지는 부하평준화용이나 순시전압저하(순저)보상용으로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 외에 비상용전원으로 소방기기용 전원기능을 갖고 있는 소방비상용시스템도 개발이 빨리 되었으면 한다.
□ 자연에너지를 이용하는 분산형전원에서는 자연현상에 의해 발전출력이 정해지고, 열병합(熱倂合)발전에서는 열부하추종운전을 할 경우에 발전출력이 열부하의 크기로 정해진다. 분산형전원에서는 전력계통의 수급평형에서 본 필요성과는 별도로 발전출력이 정해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 저자
- K. Koismi, S. Huruya, T. Kato, T. Seko, J. Shichihara, T. Ichigawa, T. Haya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37(11)
- 잡지명
- 에너지(M15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61~82
- 분석자
- 문*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