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의 공간구조 형상 및 구조 특성과 내풍설계법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는 88년 서울 올림픽과 2002년 월드컵 대회 유치를 계기로 수많은 경기장 등 대형 구조물이 건설되었다. 이러한 장대 스팬을 가진 구조물의 설계에는 복합 모드 스펙트럼 해석을 행하고 풍동 실험으로 공기력 계수를 측정하여 풍하중에 의한 진동에 대해 구조물의 안전성 여부를 평가해야 한다. 또한 Shell 구조물이 많아 상대적으로 공기와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고 장스팬에 대한 장기 처짐에 대해서도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이미 정적 하중 설계는 완전 자립 설계로 문제가 없으나, 아직 동적 설계에서는 다소 미흡한 부분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 예를 들면 월드컵 경기장의 돔 지붕이 태풍에 의해 와해된 사건(제주도)이나, 건축은 아니나 부산 항만 크레인의 태풍에 의한 도괴사건 등으로 대형 구조물에 대한 시각을 재고할 부분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법규상 설계 풍속은 50m/sec로서, 최근 한반도의 최대 풍속이 60m/sec에 달하여 거대 구조물의 풍력 설계에 시급히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 즉, 이러한 공간구조의 내풍 설계 시에는 건물의 형상과 환경에 맞는 풍력계수를 적용해야 하겠고 풍압 산정 기본 데이터는 지역에 맞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문의 일본 사례와 같이 대형 유사 구조물에 대해서 상호 설계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서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내풍 설계를 적용해야 할 것이다.
저자
Yasushi uematsu,Takayuki sone,Masumi noguc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96)
잡지명
일본풍공학회지(M039)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7~116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