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5층탑의 풍재해의 원인분석

전문가 제언
□ 불교문화를 일찍부터 도입한 우리나라는 수많은 탑들이 건축되어 1,000여 기를 헤아린다 하나, 16세기 이전에 건축된 목조탑은 현재 유난히 전화가 많았던 이유로 모두 소실되어 남아있지 않고 현재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은 법주사의 팔상전이 방형 구조의 중층 누각 형식으로 우리나라 목탑의 양식을 전하고 있을 뿐이다.

□ 그 외는 대부분 석탑으로서 3층 및 5층탑이 많이 현존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 내습하는 태풍은 하절기에 집중되어 있고 풍향은 기본적으로 남서향으로서 내륙 상륙 후의 거동은 주위 환경에 따라 매우 유동적으로 그 예상 진로 등을 예측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일본과 같이 목조탑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여서, 또한 이에 대한 공기 역학적 거동 해석을 한 사례도 흔하지 않으나 고층 건물에 대한 풍동 실험과 수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면 사각형의 모서리 뒷부분에서 유동층의 역류 발생으로 재순환하는 영역이 생기고 있는 것을 볼 때, 현재 탑 형식에서는 지붕마루가 길게 돌출되어 와류를 방지할 수 있음은 쉽게 이해되고 있다.

□ 현재 GIS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기법, 풍동 실험 등을 통하여 우리도 충분히 오층탑에 대한 기술 검토 대비는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다만 다각적인 실 사례는 일본 사례에서 많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여기서 한 가지 거론한다면 모든 사고에 대한 관련 기록은 가능한 상세하게 기록 유지되어야 추후에도 원인 분석 및 대책 수립이 가능하다는 점일 것이다.
저자
Kenji shimata, Masahiro matsui,akihido yoshida, Yukio tamu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96)
잡지명
일본풍공학회지(M039)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20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