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신 히트펌프 기술의 활용과 효과
- 전문가 제언
-
□ CFC 대체기술의 개발관련
우리나라는 CFC개도국 감축계획에 따라 2006년부터 CFC를 전량 폐기하는 스케줄로 10년을 유예 받은 상태로 대체물질 실용화를 위한 3단계연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선진국에 수출하는 기기 및 제품은 CFC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미 기업체별로 상당부분 대체물질로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경쟁력 있는 제조공장을 건설하기 위해선 각 공정의 촉매의 특성을 개선하고 대량생산기술을 조속히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공조기기의 고효율화를 위한 요소 기술 개발 및 기기 국산화 시급
상당 부분은 국산화 되었으나, 지속적인 요소 기술 개발이 미흡하고 주요기기의 국산화도 촉진해야 할 것이다. 특히, GHP 열병합(가스 엔진 구동) 시스템이 최근 많이 도입되고 있으나, 주 기기인 가스 엔진은 대부분 수입품으로 전체 시스템 가격 구성비가 35~50%까지 이르고 있어 투자비 회수 단축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 히프 펌프 기술을 채용한 공조 시스템 설계공급 평가 방법 개선 필요
현재는 건축물이나 기타 수용가에서 이미 설계된 시스템의 기종별 가격 및 배관 설비 가격에 의해 입찰 또는 발주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대부분 저가 낙찰이 성행하고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유리한가는 거의 도외시 되고 있다. 따라서 기기별 가격 또는 전체 입찰가와 함께 시스템의 효율도 함께 평가하는 이중 평가제 또는 PQ평가제를 실시하여 에너지절약 측면에서 유리한 업체에 발주시킴으로서 에너지절약 효율 제고와 향후 리모델링 등의 A/S에 대비 할 수 있다. 특히, 기종별 공급기기 업체가 정해진 후, 최초 설비 설계자의 지속적인 확인 없이 준공되고 있어 단순한 운전 관리만 할 뿐이며 본래 설계 의도와는 많은 차이가 있게 된다.
- 저자
- Eiji HIHA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55(8)
- 잡지명
- 생에너지(A07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8~44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